Home » Archive by category 에너지일반

미, 에너지 설비의 다중 소유화 경향

미국의 원자력, 양수 저장장치, 석탄 발전소 등 에너지 분야에서 다중 소유자를 가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국(EIA)은 발전기가 한 회사 소유인지, 여러 회사 공동 소유인지, 그리고 공동 소유인 경우 각 소유자의 지분(점유율)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2019년에는 미국의 총 가동 전력 생산 용량 1,099기가와트(GW)의 약 14%가 공동 소유되었다. 핵 보유량이 공동 소유의 비율이 37%로 가장 높았고, 이어 펌프 저장 수력 발전 34%, 석탄 29% 순이었다. 이런 유형의 발전소는 건설비용이 많이 드는 대규모 시설인 경향이 있고, 기술에는 규제 리스크가 높아 소유자별 발전소 소유 리스크를 줄여 공동 소유가 더욱 매력적이다.

공동 소유는 여러 자산들 간에 건설 및 운영 비용을 공유하여 리스크를 줄인다. 공동기업은 대기업 자산이 제공하는 역량 포트폴리오의 다양성과 규모의 경제에서 이익을 얻도록 하면서 원가와 위험을 기업 전체에 분산시킨다. 서로 다른 실체의 보완적 전문지식은 잠재적으로 개발 및 운영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2019년 미국에서는 총 96기의 원자로를 갖춘 58기의 원전이 가동되고 있었다. 미국 최대 원전인 애리조나 주의 팔로 베르데에는 7명의 공동 소유주가 있다. 이 소유주들은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텍사스, 뉴멕시코의 공공시설을 포함한다. Palo Verde의 소유권 비율은 29%에서 6%까지입니다.

미국에서 건설 중인 원자로는 조지아주 보글 원자력 발전소에 있는 3, 4호기뿐이다. 일단 완공되면, 보글레는 국내에서 가장 큰 원자력 발전소가 될 것이다. 보틀은 네 개의 기업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다. 조지아 전력 (46%의 소유권), 오글소프 전력 (30%), 조지아 시 전력 기관 (23%), 돌턴 유틸리티 (2%)가 그 뒤를 이었다.

펌프 저장 수력과 기존 수력은 서로 유사하지만 소유 프로파일은 매우 다르다. 기존 수력 발전 용량은 2019년에 2%에 불과했지만, 펌프 저장용량은 34%였다. 미국 재래식 수력 발전 용량의 거의 64%는 연방, 주 또는 시 정부가 소유하고 있다. 또 다른 19%는 하나의 전기 유틸리티가 소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재래식 수력발전소는 1950년에서 1980년 사이에 건설되었는데, 수력 발전 프로젝트 자금이 주로 연방정부에서 조달되었다. 반대로, 대부분의 펌프 저장소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산업과 시장이 대규모 자본 프로젝트를 건설하는 투자자들을 지원하면서 운영되기 시작했다. 미국 전체 양수 저장용량의 22%를 차지하는 배스 카운티(3.0GW)와 루딩턴(2.3GW)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다.

기사 출처: EIA 

대한민국 국제 에너지 의존도 높다 – EIA

미국 에너지정보연구원(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이 지난 116일 대한민국의 전체 에너지 사용에 대한 통계를 발표했다

자료는 전체개관에서 대한민국은 거의 대부분의 화석연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 대한민국은 LNG, 석탄, 석유에 있어 세계 탑 5위 연료수입국 중의 하나임에도 국제적인 연료공급 파이프라인을 갖고 있지 않으며 또 LNG나 크루드 오일을 저장 운반할 수 있는 독자체계를 갖고 있지 못하다고 진단했다

자료는 또 한국은 2019 년에 세계 9 위의 에너지 소비국이었다. 특히 전자, 반도체, 석유 화학 제품을 주로 아시아 지역 무역 파트너에게 수출함으로써 국가 경제 성장을 촉진했다는 점, 하지만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지난 2년동안 20173.1 %에서 2019 2.0 %로 둔화되었다는 점, 이는 최근 10년 만에 가장 낮은 GDP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국외적으로는 일본과의 무역분쟁 및 건설투자 약화와 국내적으로 고령화 인구증가 등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국내 에너지 수요와 전반적인 경제환경이 약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경제 침체로 인해 한국의 전체 에너지 소비가 2018~2019년까지 감소했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또 석탄 및 천연가스 파생물을 포함한 석유 및 기타 액체가 2019 년 한국의 1차 에너지 소비에서 가장 큰 비중인 43%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 비중은 1990 년대 중반 이후로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천연가스, 석탄 및 원자력 소비의 꾸준한 증가로 전력 부문과 산업부문의 석유 사용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원자력 에너지 소비비중이 증가한 반면 석탄 소비비중은 2018년 수준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대기배출을 줄이기 위해 겨울철 일부 석탄 화력 발전을 제한하고 있다고 밝혔다.

EIA 통계 원문